이장원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4월 해병사관후보생 5기로 입대해 그해 9월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 후 적에 대한 후방교란과 해안봉쇄작전을 수행하는 해군 엄호의 임무를 띠고 해병 독립 42중대 소속 황토도(黃土島) 파견소대장으로 부임하게 된다. 당시 황토도는 함경남도 영흥만 주변 아군의 해상봉쇄선상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북한은 이 거점을 장악하기 위해 호시탐탐 기습공격을 시도한다. 1951년 11월 29일, 앞선 두 차례의 기습공격이 이장원 부대에 의해 연달아 실패하자 북한군은 1개 대대라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 황토도를 향한 최후의 일격을 가해 왔다. 북한군으로서는 자존심이 걸린 상륙작전이었다. 얼마 후 적과의 치열한 교전 중 무전기마저 파괴돼 아군의 지원조차 기대할 수 없는 절체절명의 순간에 이르렀으나 이장원과 그의 소대는 물러서지 않았다. 이처럼 악조건 속에서도 좀처럼 물러서지 않는 해병에 당황한 적은 결국 아군 진지에 집중포격을 실시했고, 이장원과 그의 부하 3명은 결국 적의 포탄에 전사하게 된다. 소대장의 최후를 눈앞에서 맞이한 그의 소대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북한군을 격멸, 진지를 사수하게 된다. 이로써 3차례에 걸친 북한군의 황토도 공격은 모두 실패로 끝났으며 이는 적의 해상보급로를 차단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장원 중위는 현재 그의 증조부(曾祖父) 이남규 선생과 조부(祖父) 이충구, 부(父) 이승복과 함께 4대가 현충원에 안장됐다. <저작권자 ⓒ 경인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