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통신

경기북부 반환공여구역, 남북교류 핵심거점으로 개발되나

활용가능한 반환 공여지 22개소 중 6개소 미반환, 반환된 16개소 중 6개소는 미개발상태

조홍래 기자 | 기사입력 2018/06/12 [00:19]

경기북부 반환공여구역, 남북교류 핵심거점으로 개발되나

활용가능한 반환 공여지 22개소 중 6개소 미반환, 반환된 16개소 중 6개소는 미개발상태
조홍래 기자 | 입력 : 2018/06/12 [00:19]

[경인통신=조홍래 기자] 경기북부의 반환공여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개발돼야 하며 이를 위해 전담조직 구성과 개발사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1일 반환공여지 현황 및 사례를 분석하고 국가주도의 반환공여지 개발 방식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한 미군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에 따른 경기도 대응방안보고서를 발표했다.

경기도 내 미군 공여구역은 51개소이며 이중 활용 가능한 반환공여구역은 의정부 8, 파주 6, 동두천 6, 하남 1, 화성 1곳 등 총 5개 시군 내 22개소이며 이는 미반환된 6개소를 포함한다.


반환된 16개소 중 미개발된 6개소는 방대한 기지규모, 접근성 미비, 고가의 토지매입비 등으로 공여구역 특별법 제정 이후 10년 넘게 개발이 지연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2008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수립 이후 개발이 지연되고 있어 반환예정인 미군공여지 개발을 위한 대안이 요구되는 있다.


2017116일부터 20일까지 동두천시, 파주시, 의정부시에 거주하는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12.3%, ‘주민지원사업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23.8%에 그쳐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규모와 범위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군 주둔에 의해 발생한 피해에 대한 보상주체는 국가(70.0%)’라고 응답했으며 미군(14.3%)’, ‘국방부(8.5%)’, ‘지방자치단체(7.3%)’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국가 역할은 국가주도 개발(47.3%)’이 가장 높았으며 지원사업 국비 확대(29.5%)’, ‘현행 법·제도 개선(9.0%)’ 순이었다.


또 반환공여구역 개발의 사업 방향은 지역경제 활성화(70.3%)’이며 구체적인 반환공여지 사업으로는 일자리 및 산업단지사업(73.3%)’을 꼽았다.

독일은 연방재산국(BiMA)에서 반환공여지의 개발을 전담하고 있으며, 필리핀의 클락(Clark)은 대통령 직속의 기지전환개발청(BCDA)에서 개발을 추진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담당부서가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국방부 등으로 분산돼 있으며 지방자치단체가 개발을 주도토록 돼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이 부족하고 시장성이 불명확한 지역은 원활한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국가주도 반환공여지 개발을 위해 반환공여지 및 주변지역의 개발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조직으로 개발청과 전담개발공사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환공여지 개발을 위한 국가주도 전략으로는 (가칭)반환공여지개발청 및 (가칭)반환공여지개발공사 설립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개정을 제안했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에 의한 개발지역은 사업 활성화를 위해 토지매입비 범위 확대, 조성비 지원 강화, 토지규제에 대한 특례 적용, 토지매각방식 다양화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 연구위원은 지난 10년간 미군 반환공여지 발전종합계획은 지방자치단체가 제안하는 개발계획을 반영하는데 그치고 있다경기북부에 위치한 반환공여구역이 4차 산업혁명, 남북교류, 수도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핵심거점이 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개발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