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자궁벽을 이루는 근육층에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다. 전 연령에서 생길 수 있으며, 특히 호르몬 작용이 활발한 가임기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에서 무증상의 자궁근종까지 포함할 경우 유병률이 40~50%에 이르는 흔한 병이다. 생리양이 증가하거나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출혈이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증상이다. 그러나 증상이 특별히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아 건강검진시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다.
△30대 가임기 여성 자궁근종 매년 7%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에 따르면 2019년 한해 자궁근종(질병코드 D25) 환자수는 42만 7336명으로 5년 전인 2015년 30만 4504명에 비해 40%가 증가했다. 10대를 제외하고 전 연령에서 환자수가 늘었으며, 특히 30대 33.6%, 40대 26.5%가 증가했고 20대에서도 34.1%나 늘어났다. 2019년 통계청이 발표한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이 30.4세인 점을 감안하면 가임기 여성에서 자궁근종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위치나 크기에 따라 유산·난임의 원인이 되기도 자궁근종은 생사를 좌우할 만큼 위험한 질환은 아니지만 그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젊은 여성에서는 난임이나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 내막의 변화로 인해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기에 부적당할 수도 있고, 난관 중 한개 이상이 눌리거나 막혀서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해 난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근종은 배아가 성공적으로 착상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유산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궁근종은 임신 전에 미리 제거하는 편이 좋다.
△자각증상 거의 없고, 호르몬의 영향 받아 자궁근종은 발생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크기가 작을 때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가 어느 정도 근종이 커지면 생리량이 많아지고 생리통도 심해진다. 방광과 직장 사이에 있는 자궁에 혹이 커지다 방광을 압박해 소변이 자주 마렵고 허리가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종양이 큰 경우 아랫배에서 딱딱한 혹이 만져지기도 한다. 자궁근종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주로 호르몬의 영향으로 생각되고 있다. 체내 에스트로겐(estrogen)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이라는 호르몬과 관련성이 있어 폐경 후에는 근종의 크기가 커지지 않으며, 작아지는 경우도 있으나 폐경 후에 근종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연관된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주기적인 관찰을 하나, 생리과다와 심한 생리통, 자궁출혈, 자궁근종으로 인한 빈뇨와 배변시 불편감, 그리고 복부에 종양이 만져지거나, 난임 및 유산과 관련이 있을 때는 치료가 필요하다.
△ 증상 유무와 임신여부 등 고려해 환자 맞춤형 치료방법 선택해야 자궁근종의 경우 근종의 위치나 개수, 크기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양하므로 치료는 환자의 증상유무와 심각성, 나이, 근종크기 및 위치, 임신여부 등을 최대한 고려해 해당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궁근종의 치료 방법은 크게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자궁근종의 수술적 치료방법은 근종만 없애는 ‘근종 절제술’이나 자궁전체를 들어내는 ‘전(全) 자궁적출술이 있다. 과거에는 완치를 목표로 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자궁적출수술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가임기 여성에게는 적합하지 않고, 출산이 끝난 중년여성에게도 자궁은 생각 외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 자궁근종 절제술이 근종치료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기존 개복 수술 방식으로는 절개부위가 커서 가급적 개복을 피하면서 입원기간이 짧고 위험성이 적은 복강경 수술이나 로봇복강경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로봇복강경 수술이 보다 정밀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
비수술적 치료방법에는 호르몬을 이용해 근종의 크기를 줄이는 '약물요법'과 자궁근종으로 가는 혈관을 차단해 근종을 썩게 만드는 '자궁동맥색전술', 자궁근종에 고강도 초음파를 쏴서 열로 녹이는 '근종용해술', 일명 하이푸 같은 시술도 있다. 약물요법의 경우 완치를 기대하긴 어려우며 하이푸나 색전술의 경우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하이푸 시술의 경우 근종이 반흔 조직으로 바뀌면서 자궁파열이나 태반형성이상이 일어날 소지가 있으며, 시술 후 생기는 유착 때문에 임신이 어려울 수 있고, 자궁동맥색전술의 경우 치료 후 임신을 했을 때 유산이나 조산, 사산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최근 자궁근종의 환자수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몸 건강에 대해 관심이 부족하거나 자궁근종이라면 무조건 자궁을 적출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진료를 꺼리는 여성들이 있다.
일산차병원 나영정 부인종양센터 교수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진단과 추적관찰이 중요하고, 증상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며 “절개부위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자궁을 보전해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치료방법이 있으니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일산차병원 부인종양센터는 미혼이거나 임신계획이 있는 여성을 위해 난임센터와 협진을 통해 향후 임신을 위한 각종 치료계획을 설정하도록 진료를 연계하고 있다. 특히 거대자궁근종이나 다발성 자궁근종의 경우도 단일공 로봇수술을 진행해 개복수술에 비해 상처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빨라 여성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자궁을 보전하는 수술에서 절개부위의 상처를 최소화하면서 안전성과 치료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로봇복강경 수술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자궁근종을 치료해야 하는 경우는 ▸생리과다 및 비정상 출혈로 빈혈증세가 있는 경우 ▸근종으로 인해 생리통, 골반통증이 심한 경우 ▸근종으로 인한 방광압박으로 배뇨에 불편이 있는 경우 ▸급속히 크기가 커져서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 ▸자궁근종이 불임의 유일한 원인인 경우다. <저작권자 ⓒ 경인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