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통신

문화재청 ,태안 갯벌서 발견된 조선 왕실 기와, 완전체 공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추가 발굴

이영애 | 기사입력 2022/06/29 [23:07]

문화재청 ,태안 갯벌서 발견된 조선 왕실 기와, 완전체 공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충남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추가 발굴
이영애 | 입력 : 2022/06/29 [23:07]
조선 전기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의 원형을 찾다

 

[경인통신=이영애 기자]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식기와 취두(鷲頭)'가 처음으로 완전한 형태로 공개됐다.

 

태안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를 조사하고 있는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5월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 상단과 지난해 6월 출토된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인 검파(劍把)를 새롭게 발굴해 2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에 첫 공개했다.

이날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번에 발굴한 장식기와 상단과 검파는 지난 2019년에 조개 캐던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장식기와 하단과 결합되는 유물이며, 지난해 6월 연구소가 인근 지역에서 추가로 발굴해 낸 장식기와 유물(상하단)과 쌍을 이루는 것이 확인됐다.

검파 발굴로 인해 건물 용마루에 올라가는 취두 전체가 온전한 모습 그대로 출토됨에 따라 조선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으며, 조선시대 왕실 관련 마루장식기와 연구에 있어서도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

경복궁 창건기 건물과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고고자료로도 평가되고 있다.

이번 5월에 발굴된 검파는 길이 40.5cm, 폭 16cm, 두께 7cm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으로,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운문, 雲紋)가 표현돼 있고, 취두 상단의 방형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

이번에 발굴된 구름무늬 검파는 현재 창덕궁 인정문 등 조선 후기 궁궐 지붕의 용머리 장식기와에 일부 남아있는 문양 없는 간략한 막대(棒) 모양 검파와 형태상 차이가 있다.

또 한 쌍의 취두 하단부에 부조된 용 문양의 표현에서 갈퀴의 표현 방식과 구렛나루 사이의 돌기 개수 등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오는 8월 중순까지 해당지역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관련 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취두가 출토된 인근해역의 고선박 존재와 왕실 장식기와의 생산과 지방으로의 유통에 대한 심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