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시에서는 국가민속문화재인 능창대군 망건과 영친왕 망건과 귀걸이, 부채와 선추 등 조선시대 남자 복식(服飾)에서 꾸밈[飾]에 해당하는 장신구 100여 점을 선보인다. 기존의 장신구 전시는 여성 장신구에 초점을 맞췄다면 남자 장신구를 한자리에 총망라한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기획전 '조선비쥬얼'는 조선 후기 남자의 장신구를 통해 ‘의관정제(衣冠整齊)’의 중요성과 조선 남자의 미의식을 조명하고자 기획했다. ‘옷[衣]과 관모(冠帽)를 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새를 바르게 한다(整齊)’는 뜻의 의관정제는 꾸밈에 대한 우리 조상의 생각을 담고 있다. 격식에 맞춰 바르게 차려입음으로써 바른 마음가짐과 자세가 갖춰진다고 생각한 것이다. 공·사적으로 외부 접촉이 많았던 조선시대 남자는 다양한 의복과 장식으로 신분을 구분하고 자신의 위엄과 품격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대모, 마노, 호박, 백옥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장신구를 착용했다. 조선의 멋쟁이들은 살이 파이는 고통을 감내하며 망건을 꽉 조이고, 영롱한 구슬갓끈을 늘어뜨려 멋을 냈다. 복식에 대한 지식도 상당했는데, 특히 실학자들은 사신으로서 청과 일본 등을 왕래하며 접한 외국 문물을 선보여 유행을 선도했다. 옷고름 대신 서양의 단추를 달아 여미는 편안한 복식을 제안하는 등 실용적인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했으며, 조선의 복식에 어울리도록 변용하고 활용했다. 1부 '남자의 꾸밈'은 조선 남자를 상징하는 ‘갓’을 필두로,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대표 장식품을 선보여 전시의 전체 구성을 소개하고, ‘꾸밈’의 의미를 정의한다.
2부 '꾸밈의 시작; 상투 틀고, 망건 조이면 꾸밈의 반'에서는 의관정제의 기본인 상투와 망건에 사용되는 장식을 소개한다. 조선 남자들은 아침에 일어나 제일 먼저 세수를 한 뒤, 상투를 틀고 망건을 조이는 것을 하루 중 가장 중요한 치장으로 여겼다. 이에 동반되는 동곳, 망건 풍잠, 관자, 상투관 등 다양한 머리 장식품을 살펴볼 수 있다.
3부 '꾸밈의 완성; 쓰고, 걸고, 매고, 신고'는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다양한 장식품을 볼 수 있는 공간이다. 조선만의 풍습으로 남아 있는 구슬갓끈과 선조(재위 1567~1608) 대 이후 사라져 버린 남자 귀걸이, 지위가 높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 앞에서 함부로 쓸 수 없었던 안경, 옷고름과 끈 대신 사용한 단추 등 멋과 실용을 겸비한 장식품을 통해 독특한 예술성까지 살펴볼 수 있다.
4부 '꾸밈의 상징; 신분! 척 보면 알아요'에서는 관리의 옷인 관복과 학자의 옷인 심의를 소개한다. '김육 초상화', '허전 초상화'(보물), '김시묵 초상화' 등 초상화 속 인물의 모습을 통해 관복과 심의 일습(一襲)의 구성품을 알아보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한다. 특히 '김시묵 초상화'는 보존처리를 마치고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전시 관람 후에는 직접 선비의 복식과 장신구를 착용해 보는 체험 프로그램 ‘만져보고, 느껴보고’와 장신구로 조선 선비를 꾸미는 터치스크린 게임 ‘조선 선비의 외출 준비’도 즐길 수 있다.
전시 기간 동안 전시연계 교육 ‘한복 배자 만들기’와 배우와 함께하는 전시해설 프로그램 ‘살아있는 박물관’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문화재단과 실학박물관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저작권자 ⓒ 경인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