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통신

아물지 않은 아픔...세월호 참사

학부모 ‘단원고 교실 존치해야’, 교육청 ‘해답 찾기 어려워’

이영애기자 | 기사입력 2015/12/07 [23:20]

아물지 않은 아픔...세월호 참사

학부모 ‘단원고 교실 존치해야’, 교육청 ‘해답 찾기 어려워’
이영애기자 | 입력 : 2015/12/07 [23:20]
 
22r교육.jpg
 
333교육.jpg
 
22교.jpg▲ (사진설명)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7일 오전 ‘단원고 교실 존치를 요구하는 교사 서명운동’을 전개해 모아진 1차분 서명지(1695명)를 경기도교육청 한근수 비서실장에게 전달했다. (사진 이영애 기자)
 
"단원고 교실은 참사의 현장입니다. 아픈 현장이지만 그대로 보존되었을 때 생명존중의 교육현장이 될 수 있습니다” - 유가족의 피켓 문구
 
세월호 참사 이후 돌아오지 못한 학생들의 교실 활용을 두고 안산단원고와 경기도교육청 간 골이 깊어지고 있다.
단원고 교실 존치를 요구하는 교사 서명운동을 전개해 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세월호 참사 600일을 맞는 7일 수합된 서명지 1차분을 경기도교육청에 전달했다.
전교조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교실은 학생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더니 유가족과 재학생 학부모의 합의에 따른다며 유가족들의 제안을 외면하고 책임을 회피하면서 시간을 흘러 보내고 있다고 비난한 뒤 뒤에 숨어 팔짱만 끼고 있을 것이 아니라 교육감이 직접 나서서 결단해야 한다. 지역사회와 재학생 학부모, 예비 학부모, 재학생들을 적극 설득해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전교조는 또 이재정 교육감은 4.16 이전과는 다른, 생명안전평화의 교육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그것이 가능하려면 교실을 존치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뒤 하루빨리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릴 것을 교육감에게 촉구한다. 유가족과 현장교사의 목소리를 가슴에 새겨듣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경기도교육청의 반응은 냉담하다.
일부 경기교육청 관계자는 단원고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존치 문제는 답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입학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빠른 시일 안에 합의가 이뤄지길 바란다는 말만 되 내일 뿐이었다.
지난 1130일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가 경기교육청에서 학교비정규직 평등인권실현과 학교행정업무 정상화 촉구를 요구하며 고유업무 인정, 직종 순환 금지, 행정실무사 정원 확보를 위해 교육감과의 면담을 요청 할 때도 도교육청은 출입문을 걸어 잠그고 일반인들의 출입을 통제해 원성을 사기도 했다.
 
세월호참사 희생 단원고 교실 존치 요구 교사 서명(1) 전달 기자회견문
 
4.16 기억교실을 생명평화교육의 장으로 존치하라!
교실을 치우면 기억도 잊혀집니다.
 
세월호 참사 601일을 맞은 오늘, 우리 교사들은 참사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참담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우리는 별이 된 262명의 아이들과 선생님들에게 약속했습니다. 잊지 않겠다고, 진실 규명을 위해 끝까지 행동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생명·평화·평등의 교육을 실천하겠다고, 4.16 참사 이전과 다른 교육, 다른 사회를 만들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아침 8시부터 밤 10시까지 집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냈던 교실, 아이들의 재잘거림과 웃음소리, 선생님의 애정 어린 잔소리로 채워졌던 공간에는 엄마들이 눈물로 뜬 노란 의자 커버와 방석, 애탄 기다림의 글, 국화꽃 한 송이, 달력 416일에 칠해진 빨간 동그라미가 남았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교실에서 기다리고, 교실을 지키고 있습니다.
 
아직 은화와 다윤이와 현철이와 영민이가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고창석 선생님과 양승진 선생님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의 명예졸업식이 111일에 치러진다고 합니다.
그 이후 2학년 10개 교실, 1개의 교무실이 치워지고 리모델링을 거쳐 다시 입시교육 공간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4.16 진상 규명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아이들과 선생님이 아직도 차가운 물속에 있는데, 교실의 흔적을 지워버리겠다고 합니다.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페인트칠을 새로 하고 그 공간에서 가르치고 배우라는 것입니다. 과연 가능할까요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교실은 학생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더니 유가족과 재학생 학부모의 합의에 따른다며 유가족들의 제안을 외면하고 책임을 회피하면서 시간을 흘러 보내고 있습니다.
단원고 교실 존치 문제를 놓고 유가족과 재학생 학부모 간 불필요한 갈등마저 발생했는데, 사실상 경기도교육청이 갈등을 조장한 것이나 다름없으며 이는 유가족을 다시 한 번 공격하는 일이었습니다.
합의하라는 말 뒤에 숨어 팔짱만 끼고 있을 것이 아니라 교육감이 직접 나서서 결단해야 합니다. 지역사회와 재학생 학부모, 예비 학부모, 재학생들을 적극 설득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416민주시민교육원을 지어 추모하겠다는 교육청의 11월 방안은 결국 기억을 지우겠다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부지 확보와 예산 문제 등 어느 것 하나 충분히 검토되지도 않았습니다. 공사 기간 동안 교실의 흔적을 교육청에 보관했다가 건물이 완성되면 옮겨서 전시를 하겠다고 합니다.
경기도교육청과 단원고는 추모와 교육은 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추모해야 할 것, 기억해야 할 것을 외면하는 교육은 껍데기일 뿐입니다. 수백억 원짜리 ‘416민주시민교육원을 지어 전시하겠다는 발상은 역사를 박제화하겠다는 것으로, 4.16 참사의 본질에 대한 또 하나의 왜곡입니다.
 
흔적이 사라지면, 기억도 잊혀집니다!
 
단원고 교실은 국가의 책임 부재로 인해 희생되어 별이 된 아이들의 삶의 흔적입니다. 아이들을 가슴에 묻고 진실을 위해 거리에 서야 했던 유가족들의 흔적입니다.
친구들을 잃은 아픔을 지고 살아갈 생존한 아이들의 흔적입니다. 함께 울었던 국민들의 눈물 자국입니다. 이 모든 것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기억의 공간인 것입니다.
 
단원고 교실은 단순한 슬픔과 아픔의 장소를 넘어섭니다.
4.16 참사의 진정한 의미를 가르쳐주고 보다 인간적인 사회를 갈망하게 하는 교육의 공간입니다. 따라서 생명과 평화와 치유의 교육 공간으로서, 잊지 않겠다는 역사의 공간으로서 단원고 교실은 그대로 보존되어야 합니다. 단원고 교실은 4.16 이전과 다른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 나서는 우리 모두의 출발점입니다. 따라서 교실을 치우는 것은 곧 소중한 출발점을 지워버리는 것입니다.
 
이재정 교육감은 4.16 이전과는 다른, 생명안전평화의 교육을 이루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것이 가능하려면 교실을 존치하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하루빨리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릴 것을 교육감에게 촉구합니다.
 
유가족과 현장교사의 목소리를 가슴에 새겨듣기 바랍니다.
 
우리의 요구
1. 흔적이 사라지면 기억에서 멀어진다. 단원고 교실 존치하라!
1. 단원고 교실은 4.16 참사의 교훈을 새기는 교육공간이다. 4.16 기억교실 보존하라!
1. 단원고 교실 존치, 경기도교육감이 직접 책임져라!
1. 단원고 교실을 생명존중 교육의 산실로 유지하라!
 
2015127
전국교직원노동조합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