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통신

메르스 격리자 1만 6700여 명… 격리 세부지침 필요

한국 186명 메르스 환자 중 38명 사망, 치명률 20%

조홍래 기자 | 기사입력 2015/12/25 [14:34]

메르스 격리자 1만 6700여 명… 격리 세부지침 필요

한국 186명 메르스 환자 중 38명 사망, 치명률 20%
조홍래 기자 | 입력 : 2015/12/25 [14:34]
메르스 격리자에 대한 격리 세부지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올해 16000명을 상회하는 대규모 격리조치를 가져오며 한국사회 초유의 관심사였던 메르스는 20151210일 현재까지 확진자가 186명으로 최종 집계됐고 퇴원 146, 치료중 환자 2, 사망자 38명이며 현재까지 격리자는 16752명에 달한다.
이에 대해 경기연구원이 메르스 사태를 토대로 올바른 격리조치 방안을 담아 메르스 격리자, 공공의 적이었나?’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메르스 감염 환자는 20123월부터 2015123일까지 1640명에 달하고 그 중 사망자는 636명으로 치사율은 39%에 달한다.
세계 감염 환자의 87%에 달하는 1427명의 환자가 중동지역에서 발생했고 그 중 587명이 사망해 중동지역만 고려했을 때 치명률은 41%에 달한다.
한국은 총 186명의 환자와 38명이 사망해 약 20%의 치명률을 기록해 중동지역 다음으로 피해가 큰 국가다.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의 초동대처는 미흡했으나 추후 강력한 격리조치로 대응함으로써 메르스 확산 방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뒀다고 보고서는 전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접촉자에 대한 격리의 법적 근거가 모호했고 격리 대상자들의 인권과 그들의 사회적 차별·배척에 대한 배려가 부족했던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다.
이은환 연구위원은 격리조치 시 국민들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홍보를 통해 격리의 필요성과 범위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격리 대상자의 선정기준과 범위 등 세부지침을 마련해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무조건적인 격리보다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능동감시가 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병원균을 퍼뜨릴 위험이 없는 접촉자에 대한 격리조치는 법적·임상적으로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특히 격리자들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합리적이고 충분한 보상이 이뤄진다면 격리자들 스스로 방역의 주체가 되는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가능한 최소 범위에서의 격리조치, 격리조치로 인한 감염자와 접촉자들의 심리적·정신적 치료를 위한 정신보건서비스 지원도 중요한 사항으로 언급됐다.
  • 도배방지 이미지